아이엠에듀
아이엠에듀 - 과목별 출제기준

아이엠에듀 직업상담사

과목별 출제기준

  • 검정현황

    검정현황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소 계 358,847 172,543 48.1% 231,123 79,759 34.5%
    2023 16,060 9,440 58.8% 11,479 5,187 45.2%
    2022 18,059 8,778 48.6% 13,011 4,937 37.9%
    2021 24,155 13,364 55.3% 16,135 7,731 47.9%
    2020 19,074 11,827 62% 15,701 7,241 46.1%
    2019 22,238 11,690 52.5% 15,119 6,648 44%
    2018 23,328 12,235 52.4% 14,504 6,955 48%
    2017 19,484 9,517 48.8% 12,653 5,227 41.3%
    2016 20,516 10,289 50.2% 13,762 5,313 38.6%
    2015 19,595 10,221 52.2% 14,114 5,039 35.7%
    2014 21,381 11,223 52.5% 15,152 4,011 26.5%
    2013 21,202 9,991 47.1% 14,758 3,872 26.2%
    2012 21,876 8,747 40% 14,047 2,403 17.1%
    2011 24,676 11,653 47.2% 16,653 4,026 24.2%
    2010 25,565 11,927 46.7% 16,083 4,442 27.6%
    2009 12,540 6,247 49.8% 7,396 1,774 24%
    2008 6,461 2,886 44.7% 3,731 782 21%
    2007 5,383 2,174 40.4% 2,439 165 6.8%
    2006 3,132 1,407 44.9% 1,583 725 45.8%
    2005 1,395 386 27.7% 574 282 49.1%
    2004 770 231 30% 547 120 21.9%
    2003 1,159 535 46.2% 679 100 14.7%
    2002 1,271 416 32.7% 928 203 21.9%
    2001 2,357 754 32% 1,803 335 18.6%
    2000 27,125 6,605 24.4% 8,272 2,241 27.1%
  • 직업심리

    직업심리

    직무
    분야
    사회복지
    ·
    종교
    중직무
    분야
    시회복지
    ·
    종교
    자격
    종목
    직업상담사
    2급
    적용
    기간
    2025. 1. 1

    2027. 12. 31
    ○직무내용 : 노동시장, 신직업, 직업상담정책 등의 관련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며, 내담자의 직업논점 진단, 역량분석, 직업상담, 집단상담프로그램 운영 등을 지원하고, 직업상담 행정을 수행하는 직무이다.
    필기검정방법 객관식 문제수 100 시험시간 2시간 30분

    필기과목명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직업심리
    20
    1. 진로발달 이론
    1. 특성-요인 이론 제개념
    1. 특성-요인이론의 특징
    2. 특성-요인이론의 주요내용
    3. 홀랜드의 직업선택이론
    2. 직업적응 이론 제개념
    1. 롭퀴스트와 데이비스의 이론
    2. 직업적응에 대한 제연구
    3. 발달적 이론
    1. 긴즈버그의 발달이론
    2. 수퍼의 발달이론
    3. 고트프레드슨 이론
    4. 욕구이론
    1. 욕구이론의 특성
    2. 욕구이론의의 주요내용
    2. 직업상담 진단
    1. 직업심리검사
    1. 직업심리 검사의 이해
    2. 규준과 점수해석
    3. 신뢰도와 타당도
    2. 진단
    1. 진단방법
    2. 진단도구 선정
    - 직업적성검사
    - 직업흥미(선호도)검사
    - 진로성숙검사
    - 직업가치검사
    - 직무역량검사
    3. 진단실시
    3. 진단결과 해석
    1. 진단결과 해석
    3. 직업과 스트레스
    1. 스트레스의 의미
    1. 스트레스의 특성
    2. 스트레스의 작용원리
    2. 스트레스의 원인
    1. 직업관련 스트레스 요인
    3. 스트레스의 결과 및 예방
    1. 개인적 결과
    2. 조직의 결과
    3. 대처를 위한 조건
    4. 예방 및 대처전략
    4. 직업상담 초기면담
    1. 초기면담의 의미
    1. 초기면담의 유형과 요소
    2. 초기면담의 단계
    2. 친밀교감 형성
    1. 수용적 상담분위기 조성
    2. 관계 형성 기법
    3. 호소논점 파악
    1. 내담자 정보수집과 초기면담기법
    - 생애진로사정 기법
    - 내담자 정보 및 행동 이해 기법
    2. 내담자의 인지적 명확성 및 동기사정
    4. 구조화
    1. 직업상담 구조화
    2. 직업상담 윤리
    5. 전략 수립
    1. 직업상담 개입 전략
    2. 직업상담 평가
    6. 초기면담 종결
    초기면담 종결기법
    직업상담

    취업지원
    20
    1. 직업상담의 이론
    1. 기초상담 이론의 종류
    1. 아들러의 개인주의 상담
    2. 내담자중심상담
    3. 합리적·정서적 행동치료
    4. 인지치료
    5. 주제분석
    2. 직업상담 접근방법
    1. 특성-요인 직업 상담
    1. 특성-요인 직업상담 모형, 기법, 평가
    2. 내담자 중심 직업 상담
    1. 내담자 중심 직업상담 모형, 기법, 평가
    3. 발달적 직업 상담
    1. 발달적 직업상담 모형, 기법, 평가
    4. 포괄적 직업상담
    1. 포괄적 직업상담 모형, 기법, 평가
    3. 진로상담
    1. 진로논점
    진로논점 분석 내담자 특성파악
    2. 직업정보 탐색
    1. 직업정보 탐색 지원
    3. 진로설계 지원
    1. 진로목표 수립
    2. 진로의사결정 기법
    4. 실행 지원
    1. 진로 역량 확장
    2. 동기 부여
    4. 취업상담
    1. 구직역량 파악
    내담자 구직역량 분석 2. 취업효능감
    2. 취업목표 설정
    1.. 취업목표 설정
    3. 구인처 확보
    1. 구인정보 수집 및 제공
    4. 구직활동 지원
    1. 구직서류 작성 지원
    2. 면접 지원
    5. 내담자 사후관리
    내담자 사후관리 기법
    5. 직업복귀상담
    직업복귀 동기 파악 직업복귀 및 직무전환 동기 파악
    2. 직업복귀 목표 설정
    직무탐색 지원 2. 직업복귀 의사결정 지원
    3. 직업복귀 지원
    진로자본 확인 진로장벽 파악 및 극복 지원 3. 진로자원 향상 지원
    4. 구직역량 향상 지원
    4. 활동계획 평가 및 사후관리
    활동계획 평가 및 수정 지원 2. 직업적응 상담 지원
    6. 직업훈련 상담
    1. 내담자 직무역량 파악
    1. 직업능력개발 역량분석
    2. 직업훈련정보 수집
    1. 훈련 및 자격정보 제공
    3. 훈련과정 선택지원
    1. 훈련과정 선택지원
    4. 훈련목표관리
    1. 훈련적응상담
    7. 집단상담프로그램 운영
    1.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1. 집단상담의 원리
    2. 대상자특성 파악
    3.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2. 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1. 집단상담 프로그램 유형 및 특성
    2. 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 집단역동 관찰
    - 집단의 발달 단계
    - 관계망 구축
    3. 집단상담 프로그램 평가 및 사후관리
    집단상담 프로그램 평가 실시 2. 집단상담 프로그램 사후관리
    8. 직업상담 협업 및 행정
    협업체계 구축 및 운영 협업범위와 기준 결정 2. 네트워크 구축
    3. 협업 협의 및 확장
    4. 협업체계 활용 및 관리
    2. 직업상담 행정
    직업상담 실적 관리 직업상담 사무 관리 직업상담 시설 관리 전산망 관리
    9. 취업지원행사운영
    1. 행사운영
    1. 행사기획 및 관리
    2. 행사관련홍보 및 업체섭외
    3. 행사평가
    직업정보
    20
    1. 직업 및 산업 분류의 활용
    1. 직업분류의 이해
    1. 직업분류의 개요
    2. 직업분류의 기준과 원칙
    3. 직업분류의 체계와 구조
    2. 산업분류의 이해
    1. 산업분류의 개요
    2. 산업분류의 기준과 원칙
    3. 산업분류의 체계와 구조
    2. 직업정보 수집
    직업정보 수집 계획 1. 직업정보의 역할 및 생산체계
    2. 직업정보 종류
    3. 직업정보 원자료
    4. 우리나라 표준직업정보
    5. 직업정보 수집 계획
    2. 직업정보 수집 실행 및 점검
    1. 직업정보제공원
    2. 직업정보 수집 방법
    3. 직업정보 수집 결과 점검
    3. 고용정보시스템
    1. 워크넷
    2. 기타 고용정보망
    3. 직업정보 제공
    직업정보 제공 1. 직업정보의 축적
    2. 직업정보 생산과정의 공개
    2. 직업정보 평가 및 환류
    1. 직업정보의 평가
    2. 직업정보인지에 대한 오류
    3. 직업정보 평가 결과 환류
    노동시장
    20
    1. 노동시장의 이해
    1. 노동의 수요
    1. 노동수요의 의의와 특징
    2. 노동수요의 결정요인
    3. 노동의 수요곡선
    4. 노동수요의 탄력성
    2. 노동의 공급
    1. 노동공급의 의의와 특징
    2. 노동공급의 결정요인
    3. 노동의 공급곡선
    4. 노동공급의 탄력성
    3. 노동시장의 균형
    1. 노동시장의 균형분석
    2. 노동시장의 구조와 특징
    2. 임금의 제개념
    1. 임금의 의의와 결정이론
    1. 임금의 의의와 법적 성격
    2. 임금의 범위
    3. 임금의 경제적 기능
    4. 최저임금제도
    2. 임금체계
    1. 임금체계의 결정
    2. 임금체계의 유형
    3. 임금형태
    1. 시간임금
    2. 연공급
    3. 직능급
    4. 직무급 등
    4. 임금격차
    1. 임금격차이론
    2. 임금격차의 실태 및 특징
    3. 실업의 제개념
    1. 실업의 이론과 형태
    1. 실업의 제이론
    2. 자발적 실업
    3. 비자발적 실업
    4. 마찰적 실업
    5. 구조적 실업
    6. 경기적 실업
    7. 잠재적 실업
    2. 실업의 원인과 대책
    1. 실업률 추이와 실업구조
    2. 실업대책
    고용노동관계법규
    (Ⅰ)
    20
    1. 노동기본권
    1. 노동기본권의 이해
    1. 헌법상의 노동기본권
    2. 근로기준법
    1. 근로기준법시행령
    >1. 근로계약
    2. 임금
    3. 근로시간과 휴식
    4. 취업규칙
    3. 최저임금법
    1. 최저임금법 시행령
    1. 최저임금 산정
    2. 최저임금의 적용
    4. 직업안정법
    1. 직업안정법시행령
    1. 직업소개
    2. 직업지도
    3. 직업상담
    4. 고용정보 제공
    5. 고용보험법
    1. 고용보험법시행령
    1. 실업급여
    2. 취업촉진 수당
    3. 직업능력개발사업
    4. 육아휴직급여
    5. 산전후휴가 급여
    6.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
    1.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 시행령
    1.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구분 및 실시방법
    2. 실업자 등을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구분
    3. 청소년을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
    7. 남녀고용평등법
    1. 남녀고용평등법 시행령
    1. 직장내 성희롱 금지 및 예방
    2. 여성의 직업능력개발 및 고용촉진
    8.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구직자취업촉진법)
    1.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구직자취업촉진법 )시행령 1. 취업지원서비스
    2. 구직촉진수당
    9.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1.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1. 거짓 채용광고 등의 금지
    2. 채용서류의 반환
    10. 개인정보보호법
    1. 개인정보보호법
    개인정보보호 원칙
    개인정보의 수집·이용·제공
    개인정보의 처리제한
    개인정보의 안전한 관리
  • 직업상담 및 취업지원

    직업상담 및 취업지원

    필기과목명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직업상담 및 취업지원 20 1. 직업발달 이론 1. 특성-요인 이론 제개념 1. 특성-요인이론의 특징
    2. 특성-요인이론의 주요내용
    3. 홀랜드의 직업선택이론
    2. 직업적응 이론 제개념 1. 롭퀴스트와 데이비스의 이론
    2. 직업적응에 대한 제연구
    3. 발달적 이론 1. 긴즈버그의 발달이론
    2. 슈퍼의 발달이론
    3. 고트프레드슨 이론
    4. 욕구이론 1. 욕구이론의 특성 2. 욕구이론의의 주요내용
    5. 진로선택의 사회학습 이론 1. 진로발달과정의 특성과 내용
    2. 사회학습모형과 진로선택
    6. 새로운 진로 발달이론 1. 인지적 정보처리 접근
    2. 사회인지적 조망접근
    3. 가치중심적 진로접근 모형
    2. 직업심리 검사 1. 직업심리 검사의 이해 1. 심리검사의 특성
    2. 심리검사의 용도
    3. 심리검사의 분류
    2. 규준과 점수해석 1. 규준의 개념 및 필요성
    2. 규준의 종류
    3. 규준해석의 유의점
    3. 신뢰도와 타당도 1. 신뢰도의 개념
    2. 타당도의 개념
    4. 주요 심리검사 1. 성인지능검사
    2. 직업적성검사
    3. 직업선호도검사
    4. 진로성숙검사
    5. 직업흥미검사
    3. 직무분석 1. 직무분석의 제개념 1. 직무분석의 의미
    2. 직무분석의 방법
    3. 직무분석의 원칙
    4. 직무분석의 단계
    4. 경력개발과 직업전환 1. 경력개발 1. 경력개발의 정의
    2. 경력개발 프로그램
    3. 경력개발의 단계
    2. 직업전환 1. 직업전환과 직업상담
    5. 직업과 스트레스 1. 스트레스의 의미 1. 스트레스의 특성
    2. 스트레스의 작용원리
    2. 스트레스의 원인 1. 직업관련 스트레스 요인
    3. 스트레스의 결과 및 예방 1. 개인적 결과
    2. 조직의 결과
    3. 대처를 위한 조건
    4. 예방 및 대처전략
  • 직업정보

    직업정보

    필기과목명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직업 정보론 20 1. 직업정보의 제공 1. 직업정보의 이해 1. 직업정보의 의의
    2. 직업정보의 기능
    2. 직업정보의 종류 1. 민간직업정보
    2. 공공직업정보
    3. 직업정보 제공 자료 1. 한국직업사전
    2. 한국직업전망
    3. 학과정보
    4. 자격정보
    5. 훈련정보
    6. 직업정보시스템
    2. 직업 및 산업 분류의 활용 1. 직업분류의 이해 1. 직업분류의 개요
    2. 직업분류의 기준과 원칙
    3. 직업분류의 체계와 구조
    2. 산업분류의 이해 1. 산업분류의 개요
    2. 산업분류의 기준과 원칙
    3. 산업분류의 체계와 구조
    3. 직업 관련 정보의 이해 1. 직업훈련 정보의 이해 1. 직업훈련제도의 개요 및 훈련기관
    2. 워크넷의 이해 1. 워크넷의 내용 및 활용
    2. 기타 취업사이트 활용
    3. 자격제도의 이해 1. 국가자격종목의 이해
    4. 고용지원정책의 이해 1. 고용지원정책 및 제도
    4. 직업 정보의 수집, 분석 1. 고용정보의 수집 1. 정보수집방법
    2. 정보수집활동
    3. 정보수집시 유의사항
    2. 고용정보의 분석 1. 정보의 분석
    2. 분석시 유의점
    3. 고용정보의 주요 용어
  • 노동시장

    노동시장

    필기과목명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노동 시장론 20 1. 노동시장의 이해 1. 노동의 수요 1. 노동수요의 의의와 특징
    2. 노동수요의 결정요인
    3. 노동의 수요곡선
    4. 노동수요의 탄력성
    2. 노동의 공급 1. 노동공급의 의의와 특징
    2. 노동공급의 결정요인
    3. 노동의 공급곡선
    4. 노동공급의 탄력성
    3. 노동시장의 균형 1. 노동시장의 의의와 특징
    2. 노동시장의 균형분석
    3. 한국의 노동시장의 구조와 특징
    2. 임금의 제개념 1. 임금의 의의와 결정이론 1. 임금의 의의와 법적 성격
    2. 임금의 범위
    3. 임금의 경제적 기능
    4. 최저임금제도
    2. 임금체계 1. 임금체계의 의의
    2. 임금체계의 결정
    3. 임금체계의 유형
    3. 임금형태 1. 시간임금
    2. 연공급
    3. 직능급
    4. 직무급 등
    4. 임금격차 1. 임금격차이론
    2. 임금격차의 실태 및 특징
    3. 실업의 제개념 1. 실업의 이론과 형태 1. 실업의 제이론
    2. 자발적 실업
    3. 비자발적 실업
    4. 마찰적 실업
    5. 구조적 실업
    6. 경기적 실업
    7. 잠재적 실업
    2. 실업의 원인과 대책 1. 한국의 실업률 추이와 실업구조
    2. 실업대책
    4. 노사관계 이론 1. 노사관계의 의의와 특성 1. 노사관계의 의의
    2. 노사관계의 유형
    2. 노동조합의 이해 1. 노동조합의 형태
    2. 단체교섭
    3. 노동조합의 운영
  • 고용노동관계법규(Ⅰ)

    고용노동관계법규(Ⅰ)

    필기과목명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노동 관계 법규 20 1. 노동 기본권과 개별근로관계법규, 고용관련 법규 1. 노동기본권의 이해 1. 헌법상의 노동기본권
    2. 개별근로 관계법규의 이해 1. 근로기준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2.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시행규칙
    3.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시행규칙
    4.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시행규칙
    5.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시행규칙
    6.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3. 고용관련법규 1. 고용정책기본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2. 직업안정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3. 고용보험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4.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 직업상담실무

    직업상담실무

    직무분야 사회복지.종교 중직무분야 시회복지.종교 자격종목 직업상담사 2급 적용기간 2015. 1. 1 ∼ 2019. 12. 31
    ○직무내용 : 구직자, 구인자 및 실업자를 위한 취업, 직업능력개발 상담을 제공하거나 초.중.고등학교, 전문대학 및 대학의 학생을 위한 진학지도, 취업상담 등의 진로지도를 담당하며, 이와 관련한 직업정보를 수집 및 관리,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운영하거나 직업상담 관련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직무
    ○수행준거 : 1. 구직자, 구인자 및 실업자를 위한 취업, 직업능력개발 상담을 할 수 있다.
    2. 학생을 위한 진학지도, 취업상담을 할 수 있다.
    3. 직업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실기검정방법 필답형 시험시간 2시간 30분

    실기과목명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직업 상담실무 1.직업심리검사 1. 검사 선택하기 1. 내담자에 따라 직업심리검사의 종류와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2. 내담자의 목표에 적합한 검사를 선택하기 위해 다양한 검사들의 가치와 제한점을 설명할 수 있다.
    2. 검사 실시하기 1. 표준화된 검사 매뉴얼에 따라 제시된 소요시간 내에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2. 표준화된 검사 매뉴얼에 따라 내담자의 수검태도를 관찰할 수 있다.
    3. 정확한 검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채점기준에 따라 검사결과를 평정할 수 있다.
    3. 검사결과 해석하기 1. 검사 항목별 평정에 따라 내담자에게 의미 있는 내용을 도출할 수 있다.
    2. 내담자가 검사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문적 용어, 평가적 말투, 애매한 표현 등을 자제하고 적절한 용어를 선택하여 검사점수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3. 검사결과해석에 내담자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할 수 있다.
    4. 검사결과에 대한 내담자의 불안과 왜곡된 이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검사결과해석 시 내담자의 반응을 고려할 수 있다.
    5. 직업심리검사도구의 결과에 대한 한계점을 설명할 수 있다.
    6. 각종 심리검사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2. 취업상담 1. 구직자 역량 파악하기 1. 구직자의 역량분석에 필요한 객관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구직역량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2. 구직자의 구직역량검사결과를 해석할 수 있다.
    3. 개인적 및 사회적 여건을 고려하여 구직자에 대하여 종합적인 역량을 판단할 수 있다.
    2. 직업상담 기법 활용하기 1. 직업상담의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구직자의 특성에 적합한 상담이론을 선택할 수 있다.
    3. 구직자 특성에 적합한 상담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3. 구직자 사정기법 활용하기 1. 초기면담을 할 수 있다.
    2. 생애진로사정을 할 수 있다.
    3. 동기, 역할 사정을 할 수 있다.
    4. 가치사정을 할 수 있다.
    5. 흥미사정을 할 수 있다.
    6. 성격사정을 할 수 있다.
    7. 목표설정을 할 수 있다.
    8. 진로시간을 전망할 수 있다.
    9. 내담자의 정보 및 행동 이해할 수 있다.
    10. 대안선택 및 문제해결을 할 수 있다.
    4. 직업정보 분석하기 1. 노동시장 현황을 분석할 수 있다.
    2. 직업분류를 활용할 수 있다.
    3. 산업분류를 활용할 수 있다.
    4. 각종 직업관련 자료 활용할 수 있다.
    5. 직업정보를 분석 및 해석할 수 있다.

(주)아이엠에듀 | 대표 : 윤성철

사업자번호 : 105-87-73890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2013-서울금천-0194호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12(가산동, 코오롱디지털타워에스턴) 203호

TEL : 1544-1993 | FAX : 02-796-6864 | E-mail : gositown@naver.com